[길섶에서] 오래된 골목에서/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오래된 골목에서/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6-26 17:26
수정 2019-06-27 0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행을 하더라도 속살 같은 골목을 들여다보지 못했으면 반쪽짜리라고 생각한다. 내밀한 사연들이 골목 안쪽에는 있으려니와 손질되지 않은 일상의 풍치를 대면하는 즐거움이 각별하다.

제주의 창창한 바다보다 둘레길 외진 동네의 저녁 골목이 내게는 아끼는 장면이다. 석양 아래 돌담 골목을 둥글게 따라 걷다 만났던 밀감나무 집. 까만 돌담 너머로 잘 익은 밀감이 가지마다 점점이 백열구처럼 불을 켜던 골목. 늦은 저녁상을 차리는지 낮은 부엌에서는 달강달강 쉬지도 않고 그릇이 부딪던 소리. 하마터면 나는 물 한 그릇 달라고 대문을 밀고 들어갈 뻔했다.

출퇴근길에 아껴 보던 옛 동네의 골목길이 뭉텅뭉텅 잘려 나간다. 고층 아파트가 밀어오니 속수무책이다. 어깨가 비뚜름해도 제 할 일 다했던 전봇대, 해가 지면 눈이 침침해지던 외등. 저녁 찬거리였겠지, 골목 텃밭에서 풋배추 한 움큼 솎던 손길, 알감자의 흙을 탈탈 털어 뒷짐 지고 걷던 발길. 갈 데는 있을까, 짐자전거가 기대어 쉬던 늙은 참나무는.

날마다 모퉁이가 깨지는 골목길이 섭섭하고 섭섭해서 발길이 붙잡히는 저녁.

골목의 하늘에 오늘은 귀퉁이 깨진 눈썹달도 말고 둥글고 둥근 달이 밤새도록 떠 있기를.

sjh@seoul.co.kr

2019-06-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