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한솥밥/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한솥밥/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1-08 22:28
수정 2019-01-09 02: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할머니는 혼잣말을 잘하셨다. 봄비 마당에 냄비만 한 두꺼비가 엎드렸어도 대문을 활짝 열어 “다치지 말고 가거라”, 가을 저녁에 반쯤 썩은 그까짓 대추알을 주우면서도 “익어 오느라 고생하셨네” 하셨다. 뜨거운 허드렛물 한 바가지도 그냥 쏟는 법이 없었다. “뜨겁소” 하고는 셋쯤 헤아렸다 물을 흘려보내셨다. 도랑의 개미들은 날쌔게 몸을 피했을까, 물이끼들은 깨금발을 들었을까.

걱정 많은 나는 이별할 일이 겁나서 인연을 엮지 말자, 기를 쓰는 편이다. 우리집에 어쩌다 백일 된 강아지가 왔다. 마뜩잖던 첫 마음이 날마다 녹아내린다. 볼일 급해지면 엄지만 한 꼬리를 감아 뱅뱅 도는 모양은 말 그대로 ‘똥 마려운 강아지’. 화분의 화초를 뜯어 물고서 콩콩 짖을 때는 그야말로 ‘개 풀 뜯어 먹는 소리’. 식은 농담들이 농담이 아니었네, 뜨겁게 숨 쉬는 일이었네.

녀석이 새벽잠을 깰까 발소리를 죽인다. 방문 찌걱대는 소리 천둥 같아서 돌쩌귀에다 콩기름을 먹인다.

진밥 된밥 한솥밥을 먹는 일은 허름한 내 발소리가 누군가의 그리움이 되는 일. 발소리 기다려 턱 괴고 잠귀 열어 놓는 일. 그 풋잠이 미안해서 발꿈치를 들고 걷는 일. 잊었던 마음이 등불을 들고 걸어 나왔다.

sjh@seoul.co.kr
2019-01-09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