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황금 들녘/손성진 논설주간

[길섶에서] 황금 들녘/손성진 논설주간

손성진 기자
입력 2017-10-16 21:38
수정 2017-10-16 22: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푸른 바다를 이웃해서 일렁이는 황금 들녘을 보았다. 농부의 땀이 녹아들어 빚어낸 누런 색깔은 금빛보다 더 찬란하다. 거센 해풍과 따가운 볕을 견디며 곡식을 일군 노고(勞苦)의 색깔.

나락은 영글수록 고개를 숙인다. 굽힘의 미학, 겸양지덕을 영근 벼는 품었다. 머리를 축 늘어뜨린 벼들이 세상을 향해 소리치는 것 같다. 굽힘, 곧 곡(曲)을 모르는 세상을 향해.

굽힘(曲)은 허물과도 통한다. 벼에게 허물이 있을 리 없건만 벼가 가르치는 것은 ‘사람들아, 제 허물을 알라’는 것이다. 자곡지심(自曲之心)이다.

몸속, 머릿속이 텅 빈 우리네. 그 봄, 여름에 정신을 영글도록 한 일이 무엇이던가. 수확의 계절에 늘 빈손이다. 그러면서 또 되풀이되는 게으름. 그래서 만물이 결실을 맺는 이 가을엔 부끄럽기만 하다. 어느 가을이면 영근 벼처럼 가슴이 충만해질까.

이제 저 들도 텅 빌 것이다. 곡식은 낟알을 떨어내야 하고 매서운 북풍이 벌판에 휘몰아칠 것이다. 떨어지는 낙엽처럼 순환하는 자연의 섭리다. 봄이 오기까지 또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 가을은 그래서 쓸쓸한 것일까.
2017-10-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