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착각은 자유/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착각은 자유/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08-11 22:42
수정 2016-08-12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열흘 넘게 비운 집 안은 내 집 같지 않다. 눈길 가는 곳마다 불청객들이다. 베란다 회벽 모서리 구석구석에 실타래 같은 거미줄이 진을 쳤다. 제 맘대로 집을 짓고는 한가하게 출타한 거미 녀석, 투망 한가운데 떡하니 자리 잡고 늘어지게 낮잠 자는 고약한 놈. 열탕의 빈집에는 어쩌자고 터를 잡았는지.

발 달린 것이나 앉은뱅이 잡풀이나 빈집의 주인 행세는 마찬가지다. 벤자민 화분이 흙마당인 줄 알았던 모양. 민들레 한 포기가 손가락 서너 마디만큼 자라 낭창낭창 허리를 비틀고 섰다. 그 배짱을 헤아려 주면 사나흘 안에 꽃봉오리까지 내처 벙글겠다는 기세다. 몇 번을 꼭꼭 단속했는데 창문 어느 틈새로 풀씨는 비집어 들었을까.

사람 온기 없으면 집 안이 거칠어진다는 말은 말짱 착각일지 모른다. 집 안 숨은 동반자들에게는 내 들숨 날숨이 모골송연 냉기였겠다는 생각. 거북이 잠든 어항 옆을 발꿈치 들고 지나야겠다는 생각. 꽃을 지나 홀씨 되도록 민들레를 잠자코 두고 보겠다는 생각. 바람 소슬해질 어느 아침, 홀씨 깃털 떠나기 좋게 창문을 활짝 열어젖히기로 하고.

쩨쩨하게 닫아건 내 창문을 열게 하는 힘, 사람 아닌 민들레.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08-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