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걷기/강동형 논설위원

[길섶에서] 걷기/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5-12-21 18:08
수정 2015-12-21 2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걷기를 운동이나 스포츠로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걷기는 트레킹과 하이킹으로 진화하면서 스포츠가 되고 있다. 나도 이 흐름에 합류했다.

그런데 며칠 쉬면서 ‘걷기, 두 발로 사유하는 철학’을 읽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잊고 있었던 걷기의 짝 하나를 찾았다. 걷기의 원초적인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그건 느림의 미학과 사유의 근원이 걷기라는 점이다.

점심을 먹고 나서 평상복 차림으로 안양천을 거쳐 한강 시민공원을 혼자 걸었다. 그저 두 팔과 두 다리가 하는 반복 운동에 모든 것을 맡겼다. 물소리, 바람소리가 들린다. 마른 갈대에 눈길이 가고, 손에 잡힐 듯한 거리에 가마우지가 날개를 펴고 일광욕하는 모습이 경이롭다. 빛은 물결을 따라 신비감을 자아낸다. 시간이 지나면서 숨소리와 심장 뛰는 소리에 내 두 팔과 두 발은 박자를 맞춘다. 중력의 무게에 내 몸을 지탱하는 발은 무거워지지만 자유로움과 신비함이 밀려온다.

둘레길이 아니어도 된다. 집앞 골목길, 공원 산책로, 두 발이 닿을 수 있는 곳이면 할 수 있다. 잠시라도 짬을 내 걸어 보자. 현실에서 잊고 있던 순수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5-12-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