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울진 산불 피해민 일상 회복에 만전 기하길

[사설] 울진 산불 피해민 일상 회복에 만전 기하길

입력 2022-03-13 21:52
수정 2022-03-14 03: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경북 울진 응봉산에서 헬기로 투입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공중진화대원이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산림청은 13일 울진·삼척산불의 큰불을 진화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경북 울진 응봉산에서 헬기로 투입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공중진화대원이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산림청은 13일 울진·삼척산불의 큰불을 진화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사상 최악의 피해를 기록한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의 산불이 어제 진화됐다. 산불이 일어난 지 무려 213시간 43분 만에 큰불을 잡았다. 피해 면적은 울진 지역이 1만 8463㏊, 삼척 지역이 2460㏊로 모두 2만 923㏊에 이른다. 서울 면적의 3분의1, 축구장 2만 9304개 넓이라고 하니 가늠키도 어려운 엄청난 규모다. 주택 319채와 농축산 시설 139곳, 공장과 창고 154곳, 종교시설 등 31곳도 피해를 입었다.

생활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하다. 정부가 울진과 삼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는 했다. 하지만 2000년 동해안, 2005년 양양, 2019년 동해 산불에서도 특별재난지역 피해 주민들이 이전의 삶으로 돌아가는 데는 너무나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정부는 이번에도 당장 살 곳이 없는 이재민들에게 긴급히 임시조립주택을 무상 제공한다. 이후 2년 동안 임대료 50%를 감면한 공공임대주택을 지원하고, 주택 복구를 희망하는 경우 최대 8840만원까지 융자를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하지만 대부분 노령층에 접어든 피해 주민들이 비현실적 액수를, 그것도 융자로 지원받아 집을 다시 짓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부의 산불 피해 주민 지원 액수는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마저 “피해 회복에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입을 모은다. 이제 수치로 헤아리기 어려운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세우는 것은 불가피하다. 주민 지원 방안 또한 단순히 옛집을 되살리는 수준을 뛰어넘어 산불 예방 및 피해 저감 대책 차원에서 수립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피해 주민들이 다시 산불이 미치지 않을 안전한 입지에 최소한의 주거 공간을 마련해 일상을 되찾을 수 있을 정도의 지원조차 받지 못한다면 선진국에 접어든 국가라고 할 수 없다.

2022-03-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