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폐기 위기 산천어, 가공식품 만들어 활로 찾은 화천군

[사설] 폐기 위기 산천어, 가공식품 만들어 활로 찾은 화천군

입력 2021-02-09 20:40
수정 2021-02-10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화천군청과 화천산천어축제의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일종의 사과문이 내걸려 있다. 이 강원도의 작은 지방자치단체와 산천어축제 관련자들이 무슨 부정과 비리를 저질렀기 때문이 아니다. 사과문은 뜻밖에도 이렇게 시작한다. ‘산천어 선물세트가 나흘 만에 모두 동나 주문을 하지 못하신 분들께 진심으로 송구한 마음’이라는 내용이다. 문구는 ‘여러분의 응원으로 축제를 열지 못해 마음 아파하던 화천군민의 가슴속에 큰 위로가 됐고, 나아가 큰 희망의 씨앗을 심어 주어 감사하다’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해마다 1월 열리는 화천산천어축제에는 150만명 이상 국내외 관광객이 몰려 지역경제에 2800억원 이상의 직간접 유발 효과를 내던 한국의 대표적 겨울축제였다.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타던 축제로 발전했으나 올해는 코로나19로 취소될 수밖에 없었고, 최고급 민물 어종인 산천어 300만 마리 77t은 퇴비가 될 운명으로 내몰렸다. 그러나 지역경제 붕괴 위기 속에 화천군과 주민들은 결국 ‘산천어 가공식품화’로 새로운 활로를 개척했고,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산천어는 반건조 산천어와 산천어 어묵, 살코기 캔, 묵은지 조림 캔, 매운탕 밀키트 등으로 다시 태어났다. 홈쇼핑과 백화점, 유튜브로 알린 것은 물론 대기업 구내식당에도 납품했다. 산천어의 가공식품화로 화천에는 새 일자리도 생겼다.

우리는 지금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화천군 사례에서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는 속담을 상기하게 된다. 화천군은 곧 산천어 가공식품의 2차 판매에 나설 계획이다. 1차 판매의 열기를 감안하면 ‘완판’은 기정사실이라고 한다. 화천은 지역 특산물의 판로 개척에서 모범 답안을 제시했다. 전국 곳곳에서 산천어를 벤치마킹한 성공 사례가 잇따르길 기대한다.

2021-02-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