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전 무방비 속에 도로를 질주하는 자전거들

[사설] 안전 무방비 속에 도로를 질주하는 자전거들

입력 2014-10-21 00:00
수정 2014-10-21 02: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전거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거나 다치는 사람이 해마다 늘고 있다. 서울에서만 최근 5년간 한 해 30명 정도가 숨졌고 전국적으로는 매년 1만건을 웃도는 자전거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용자의 안전 의식이나 관련 대책·시설이 미흡한 데 따른 것이다. 도로교통공단이 여야 의원들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전국 자전거 사고 사망자는 846명, 부상자는 3만 9085명으로 집계됐다. 2011년 1만 2121건, 2012년 1만 2908건에 이어 지난해에는 1만 3316건으로 계속 증가했다. 사망자도 2011년 275명에서 지난해 282명으로 늘었다. 서울만 놓고 보면 최근 5년간 자전거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152명으로 한 해 30명꼴이다. 자전거끼리, 또는 자전거와 일반 차량이 부딪치는 사고가 88%, 자전거가 사람을 치는 사고가 11%로 나타났다.

자출족(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일상의 생활문화로 자리 잡고 자전거 인구가 1000만명에 이르는 시대에 정작 자전거 길은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셈이다. 우선 이용자의 안전의식 부재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자전거는 차로 분류돼 전용도로가 없는 곳에서는 차도로 운행해야 한다. 버스와 승용차 사이에서 아찔한 곡예운전을 하거나 의욕만 앞세워 페달을 마구 밟는 이용자를 보면 늘 사고가 나지 않을까 조바심이 들 정도다. 관련 시설과 안전규칙 또한 열악하다.

현행법상 자전거 이용자는 헬멧 착용이 의무화돼 있지 않고 음주 운전과 휴대전화 사용도 단속 대상이 아니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일반 도로에 막히거나 중간에서 잘리기 일쑤다. 또 불법 주정차로 적발된 일반 차량이 서울에서만 한 달 2400건에 이를 정도로 자전거 전용도로는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부족한 인프라와 미흡한 안전의식이 인명사고를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자전거 음주단속과 안전속도 준수, 야간안전등 의무화 등을 담은 도로교통법 일부 개정안은 2년째 국회에 계류돼 있으니 한심할 따름이다.

자전거 붐은 건강에 도움이 되고 친환경 교통수단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다. 하지만 기본적인 안전대책조차 없이 자전거가 도로 위를 질주한다면 아까운 목숨을 앗아가는 사고는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다. 자전거 문화의 부작용과 폐해를 줄이기 위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 국회는 자전거 운전의 안전을 위한 법 개정을 서두르기 바란다. 타는 사람도 안전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2014-10-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