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일 도산서원 선비수련원 이사장
이와 같은 현상들과 관련해 현 시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명절의 참뜻을 되새기며 개인과 가족, 사회 모두 좋아지도록 지혜를 모으는 일일 것이다. 명절에 가족과 만나는 것을 피할 것인가, 반갑게 맞이할 것인가. 반목과 갈등으로 얼굴을 붉힐 것인가, 이해하고 양보하며 화기애애하게 지낼 것인가. 답은 너무나 분명하다. 우리 조상은 가족이 모두 모이는 명절을 늘 엔도르핀이 넘치는 행복한 시간으로 활용하고 즐겼다. 여기에는 명절을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가 가로 놓여 있다.
명절이 갖는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추석 명절을 대표하는 차례를 예로 살펴보자. 첫 번째는 돌아가신 부모님을 비롯한 조상님과의 만남이다. 살아계실 때 나를 그토록 보살펴 주셨던 분들을 돌아가셨다고 그리워하는 마음을 거두어야 할까. 인정상으로나 도리상으로 적어도 명절 때만이라도 조상을 추억하는 문화는 오히려 권장되어야 마땅하다. 두 번째는 같은 조상의 피를 이어받은 자손들이 한자리에 모여 확인하는 형제애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남들과의 관계가 좋아야 성공하고 행복해질 수 있다. 그렇다면 남보다 가까운 형제 간 혈족과 자연스러운 유대감을 유지하는 일은 행복의 중요한 요건 가운데 더욱 의미 있는 하나가 아니겠는가. 마지막은 자녀와 자손들에게 미치는 인성교육의 효과다. 사람은 누구나 자녀로부터 효도와 공경을 받고 싶어 한다. 그런데 효도는 백 마디 말보다 솔선하는 실천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 점에서 차례문화는 효 교육의 살아있는 교육장이다.
명절 차례는 음식을 장만하고 같은 시간에 한곳에 모여야 하는 부담스러운 측면도 있다. 그러나 조금만 더 넓게 멀리 생각하면 이처럼 의미와 효용성이 매우 크다. 조상님과의 관계, 같은 세대 형제 친척 간 관계, 다음 세대 자손들과의 관계 등 모든 면에서 유익하다. 이 때문에 우리 조상은 봉제사 접빈객을 집안경영의 최고 덕목으로 삼았다. 봉제사(조상 제사 받드는 일)를 성심껏 하여 가문 내부의 화목과 결속을 도모하고, 접빈객(찾아오는 손님을 접대하는 일)을 극진히 하면서 밖으로부터 존경받는 한국형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것이다.
종교적 이유 또는 그 밖의 불가피한 사유로 차례를 지내지 않는 사례들은 자연스레 이해되고 받아들여져야 한다. 또 명절이나 차례문화도 산업화와 도시화, 핵가족화 등의 시류에 맞추어 지내는 시각, 장소, 음식종류, 절차가 개선돼야 한다. 그러나 조상과 자손 사이에 이어지는 혈연적 유대감과 이에 수반되는 자손으로서의 도리와 공경심은 시대를 넘어 계속 돈독히 유지돼야 한다. 그러므로 불편하고 부담스럽다고 차례 자체를 기피하고 폄하하는 것은 온당치도 현명하지도 못하다. 이것이 명절을 가족이 함께 모여 화목과 공경의 축제로 승화시켜 나가야 하는 이유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추석에 놀이동산보다 현충원을 비롯한 공원묘지로 조상을 찾는 사람이 작년보다 늘어났다니 다시금 희망을 품어 본다.
2014-09-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