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이 인도한 ‘셔틀탱크’, 얼마나 고난도이길래…발주사 “뛰어난 경험” 찬사 서한

대우조선이 인도한 ‘셔틀탱크’, 얼마나 고난도이길래…발주사 “뛰어난 경험” 찬사 서한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2-09-05 13:59
수정 2022-09-05 1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NG·LPG 연료사용…VOC 복원 시설도
대우조선해양이 인도한 셔틀탱커 신드레 쿠누센호.
대우조선해양이 인도한 셔틀탱커 신드레 쿠누센호.
대우조선해양이 초고난도의 ‘셔틀탱커’ 2척을 납기일 내에 인도해 발주 선사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셔틀탱커는 경쟁사들이 수개월 간의 인도 지연을 초래할 만큼 선박 건조 과정이 까다롭다.

대우조선해양은 셔틀탱커 2척을 최근 넘겨받은 노르웨이 크누센(Knutsen)이 “선주인 우리는 선박 품질 검사가 얼마나 어려운지 잘 알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우리에게 여러 부분에서 뛰어난 경험을 선물했다. 잘 했다(Well done)”는 서한을 보냈다고 5일 밝혔다. 크누센은 2020년 대우조선해양에 셔틀탱커를 발주했다.

셔틀탱커는 해양플랜트에서 생산한 원유를 해상에서 선적해 육상 저장기지까지 운반하는 선박이다. 원유를 선적하는 과정에서 배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에 건조 과정이 까다롭다. 초대형 원유 운반선보다 1.5배 정도 비싼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이번에 인도 완료된 선박은 12만 4000t급으로, LNG·LPG를 추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복원 설비가 적용된 친환경 선박이다. 발암 및 지구온난화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VOC는 주로 원유를 선적할 때 많이 방출된다. 유럽이나 북해 지역에서 운용이 잦은 해양 설비나 셔틀탱커는 VOC 배출 규제를 받는다. 이번에 인도한 셔틀탱커는 방출된 VOC에 대해 복원 설비를 통해 다시 압축·저장해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연료 효율성이 향상되고 환경규제에도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선박의 중심을 원하는 범위 내에서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동위치제어시스템(DPS)도 탑재돼 안전성이 더욱 강화됐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 건조 과정에서 새로운 공법을 적용해 셔틀탱커 건조 기술력도 확보했다고 전했다. 운항용 LNG를 탱크로리 트럭으로 공급하는 ‘TTS’ 벙커링에 성공해 멀리 LNG 저장기지로 이동하지 않고도 공급이 가능해져 친환경 추진 선박 건조 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게 됐다. 또 해상에서 원유 선적과 하역 시 유출 오염 사고를 막을 수 있는 ‘BLS’, 거친 해상에서 선박의 중심을 잡아주는 ‘아지포드 스러스트’ 등의 신기술도 적용됐다고 회사 측이 설명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까다로운 건조로 유명한 셔틀탱커 2척을 연이어 적기에 인도한 것은 대우조선해양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증거”라며 “선주 측도 감사 편지를 보내는 등 만족감을 표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