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차례상 비용 평균 29만원…과일은 마트, 수산은 시장이 저렴

설 차례상 비용 평균 29만원…과일은 마트, 수산은 시장이 저렴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3-01-06 14:52
수정 2023-01-06 15: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대비 3.7% 상승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이 지난해보다 3.7% 늘어나 29만 4338원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설 차례상 29만 4338원
설 차례상 29만 4338원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이 지난해보다 3.7%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농수산물 시장의 모습.
연합뉴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설을 앞두고 이달 2∼3일 이틀간 서울 25개 자치구 내 90개 시장과 유통업체의 설 제수용품 25개 품목에 대한 가격을 조사한 결과 평균 구매 비용(4인 기준)이 29만 4338원으로 조사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설 물가 1차 조사 때의 28만 3923원보다 3.7% 상승한 것이다.

유통업태별로는 전통시장의 평균 구매 비용이 24만 488원으로 가장 낮았고 이어 일반슈퍼마켓(24만 4763원), 대형마트(28만 4818원), 기업형 슈퍼마켓(28만 7357원), 백화점(46만 8084원) 순이었다.

모든 품목에서 전통시장이 저렴한 것은 아니었다.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수산물은 29.5%, 채소·임산물은 26%, 축산물은 19.5% 저렴했지만, 과일(0.5%)과 가공식품(15%)은 대형마트가 더 쌌다.

품목별로는 지난해보다 식용유(28%)와 참조기(22.6%), 밀가루(21.6%) 가격이 가장 많이 뛰었고 곶감(-18.5%), 단감(-17.1%),배(-12.2%) 등은 지난해보다 값이 내렸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정부의 16대 성수품 관리 품목 중 이번 조사에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사과와 돼지고기, 참조기의 경우 가격 안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민국 농할상품권은 오는 9일과 16일 신규 발행할 예정이며 경남 창원, 충북 진천 등은 지역경제활성화와 설맞이를 위해 지역화폐를 발행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