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폴딩’ 고난도 기술… 내구성 더 안정적 접었다 펴는 ‘힌지’ 기술서 승패 갈릴 듯 배터리 기술·경량화 작업도 시급한 과제
이미지 확대
마주한 삼성전자·화웨이 부스 25일 스페인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19 바르셀로나’ 전시장에 마주한 삼성전자, 화웨이 부스 주변이 각 국 취재진과 관람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폴드’와 화웨이 ‘메이트X’ 관람 인파다. 두 회사의 폴더블폰 모두 유리장 안에 전시됐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마주한 삼성전자·화웨이 부스
25일 스페인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19 바르셀로나’ 전시장에 마주한 삼성전자, 화웨이 부스 주변이 각 국 취재진과 관람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폴드’와 화웨이 ‘메이트X’ 관람 인파다. 두 회사의 폴더블폰 모두 유리장 안에 전시됐다.
삼성전자 ‘갤럭시 폴드’가 2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19 바르셀로나’에 전시됐다. 부스 입구 양쪽에 2개를 선보였다. 전시장 맞은편 부스엔 전날 공개된 화웨이의 ‘메이트X’가 자리 잡았다. 화웨이 간판 바로 아래에 ‘메이트X’를 배치했다. 두 개의 폴더블폰 모두 유리관 속에 전시돼 접어보긴커녕 만질 수도 없었지만, 전시장은 인산인해를 이뤘다.
두 제품의 겉모습은 판이하다. 갤럭시 폴드는 책처럼 주요 디스플레이를 안으로 접히게 만든 ‘인폴딩’ 방식이다. 메이트X는 크리스마스카드처럼 주요 볼거리가 바깥면에 있는 ‘아웃폴딩’ 방식이다. 갤럭시 폴드의 4월 미국 출고가가 1980달러(약 222만원)로 예정돼, 공개된 메이트X 가격 2299유로(약 293만원)보다 덜 비싸다.
리처드 유 화웨이 최고경영자(CEO)가 접힌 메이트X 두께를 11㎜라고 공개한 뒤 “타사 제품 두께 17㎜보다 얇다”고 해 갤럭시 폴드 두께가 17㎜란 추측이 나왔지만, 기자의 육안으로 보기에 두 제품의 두께 차이는 감지하기 어려웠다.
크기는 접었을 때 6.38/6.6인치, 펼치면 8인치인 메이트X가 크다. 갤럭시 폴드는 접었을 때 4.6인치, 펴면 7.3인치다. 기기를 직접 보니 접힌 메이트X가 디스플레이가 커진 최근 스마트폰과 비슷한 외양으로 보였다. 접힌 갤럭시 폴드의 바깥면 디스플레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느낌이었지만, 좀더 단단한 인상을 줬다. 실제 접히는 곡률 반경이 더 작은 인폴딩 방식 구현이 기술적으로 어렵지만, 주요 디스플레이가 내부에 있는 만큼 내구성 측면에서 인폴딩 방식이 안정적일 것이란 관측이 많다.
두 회사의 폴더블폰이 모두 공개됨에 따라 관련 기술의 발전 단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화면을 접었다 펴는 부분인 경첩(힌지·Hinge) 매무새는 당분간 폴더블폰의 내구성을 담보할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다. 메이트X 접기 시연 중 들뜸 현상이 포착됐다는 소문에 즉각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될 정도로 힌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와 화웨이 모두 여러 레이어를 하나로 뭉칠 수 있도록 100여개 부품을 넣어 화면이 들뜸 없이 완전히 접히도록 설계하는 게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기술은 폴더블폰 선도 기업들에도 여전히 정복해야 할 과제로 제시됐다. 장기적으로 형태를 한층 유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 기술이 완성될 때 폴더블폰 혁신에 탄력이 실릴 전망이다. 배터리 무게가 곧 폴더블폰 기기 무게와 직결되기 때문에 배터리 경량화 작업도 시급한 과제로 대두됐다.
글 사진 바르셀로나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9-02-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