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업체, 10년후 은행 소비자금융 수익 60% 잠식”

“핀테크업체, 10년후 은행 소비자금융 수익 60% 잠식”

입력 2015-10-20 07:50
수정 2015-10-20 07: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컨설팅업체 매킨지 보고서 분석

앞으로 10년 후에는 핀테크 업체가 은행 소비자 금융 수익의 60%를 가져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이재은 연구원은 20일 세계적인 컨설팅업체 매킨지의 ‘글로벌 뱅킹 연차보고서’(Mckinsey Global Banking Annual Review)를 근거로 이 같이 진단했다.

매킨지는 미국·일본·중국 등 세계 90개국의 데이터를 토대로 2025년 핀테크(FinTech·정보기술과 금융의 융합)가 은행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핀테크 기업들이 진입 장벽이 낮고 기술 우위를 활용할 수 있는 리테일(소매금융) 분야에서 은행의 수익을 잠식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개인 신용을 바탕으로 신용대출, 할부금융 등을 제공하는 소비자 금융에서의 강세를 예상했다.



핀테크 업체들은 2025년 은행 소비자금융 매출의 40%, 수익의 60%를 앗아갈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혁신속도가 빠른 지급결제나 중소기업에서 소호(SOHO)까지를 아우르는 자영업자(SME) 대출, 자산관리 부문에서도 핀테크 업체들이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지급 결제 분야에서는 은행 매출의 30%, 수익의 35%를 잠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자영업자 대출에서도 매출의 25%, 수익의 35%를 가져갈 것으로 내다봤다.

자산관리(WM) 분야는 은행 매출의 15%, 수익의 30%를 잠식하고 주택담보대출은 매출의 10%(수익 20%)를 은행으로부터 빼앗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자산담보대출, 신디케이트론(여러 금융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대출) 등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거나 기업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업무는 은행의 강세를 예상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후 금융산업의 평판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은행과 고객의 단단했던 신뢰 관계가 무너지면서 고객들이 핀테크 기업으로 대거 이동할 것으로 관측했다.

아울러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들이 나오고 기술발달로 인한 새로운 고객 형태가 나타나는 점도 핀테크 업체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금융서비스의 디지털화가 보편화하고 고객의 온라인 선호가 증가하면서 핀테크로의 고객 이동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금융, 지급결제, 중소기업 대출 및 자산관리 등 리테일 비즈니스에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된다”며 “은행업이 이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부단한 기술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