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입체영상(3D) TV의 영상 구현 방식을 놓고 뜨거운 기술 논쟁을 벌인 데 이어 이번에는 유통시장에서 가격 문제로 ‘2라운드’에 돌입했다. 두 회사는 2011년 시장 주도권을 놓고 3D TV와 발광다이오드(LED) TV 등에서 치열한 가격 인하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7일 3D 스마트TV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인 ‘D7000’과 ‘D8000’ 시리즈를 출시한 데 이어 늦어도 다음 달까지 보급형 제품인 D6000 시리즈를 공개할 계획이다. D7000·8000 시리즈의 경우 46인치 제품이 400만~430만원이지만, D6000 시리즈는 적정 기술을 채택해 40인치대 제품을 앞서 내놓은 모델들의 절반 수준인 200만원대 초반까지 낮춘다는 생각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D6000 시리즈는 패널의 크기가 조금 작아지고 베젤이 두꺼워지는 등 디자인 측면에서 변화가 있을 뿐 기능 면에서는 프리미엄 제품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설명했다.
삼성의 이 같은 대응은 다분히 LG전자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6일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의 새 3D 패널을 사용한 ‘시네마 3DTV’를 출시했다. LG디스플레이는 3D 패널 생산 과정에서 지금껏 써 오던 유리필터 대신 저가형 필름을 붙여 생산원가를 75% 이상 낮춘 신기술을 선보였다. 덕분에 47인치 시네마 3DTV의 가격은 290만원으로, 삼성의 최고급 제품인 D8000 시리즈(46인치)와 비교하면 140만원가량 저렴하다.
LG전자 관계자는 “TV의 경우 프리미엄 제품과 보급형 제품 간 어느 정도 시차를 두고 출시해 매출 간섭을 줄이는 게 일반적인데, 삼성에서 두 라인의 제품을 거의 동시에 내놓기로 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벌써부터 매장에서는 양사 간 신제품에 대한 가격 인하 경쟁이 치열하다. LG전자는 시네마 3D TV 55인치 제품을 출고가(440만원)에서 최대 80만원 할인된 360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매장에 따라 추가로 10만~20만원 상당의 상품권도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55인치형 D8000 시리즈를 출고가(580만원)보다 80만원 저렴한 500만원에 예약 판매하고 있다. 태블릿PC ‘갤럭시탭’(와이파이 버전)도 패키지 제품으로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출고가보다 10~15% 이상 할인된 가격에 TV를 살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소비자들은 삼성·LG의 40인치대 보급형 3DTV를 100만원대에 살 수 있게 된 셈이다.
여기에 양사 모두 올해부터 ‘에지형 LED TV’(LCD 패널 테두리에 LED 칩을 탑재한 제품)에 들어가는 LED 칩 수를 최대 30%가량 줄여 가격을 크게 낮출 계획이다. 예를 들어 16대9 비율 패널의 경우 지금까지는 주로 가로 테두리에 LED 칩을 붙였지만, 앞으로는 세로 테두리에 붙이는 식으로 비용을 줄여 보급형 LED TV 출시를 앞당기겠다는 전략이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