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로 영토 확장하는 ‘K라면’
작년 수출액 7.6억달러 역대 최대
이슬람 국가서 ‘할랄 라면’도 대박
코로나 확산… 즉석식품 수요 늘고
영화·방송서 K푸드 인기 영향도

관세청이 30일 발표한 즉석면류 수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라면·생면·우동·국수·잡채 등 즉석 면류 수출액은 8억 62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2.0% 늘었다.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수출액으로, 2014년부터 9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2011년(2억 달러)부터 2019년(5억 달러)까지는 8년 만에 3억 달러가 증가했는데 최근에는 단 3년 만에 3억 달러가 늘었다.
전체 수출액 가운데 라면 수출액은 전년 대비 13.5% 늘어난 7억 6500만 달러, 비중은 88.7%를 차지했다. 수출 중량은 22만t, 18억 봉지다. 중국 46만t에 이어 세계 2위다. 18억 봉지의 면발 길이는 9000만㎞로 지구 2245바퀴 거리에 달했다. 올해 들어서도 1~2월 19.8% 증가한 1억 3200만 달러로 최대 실적을 기록 중이다. 라면 품목에는 일반 국물 라면과 함께 짜장·불닭볶음·비빔면 등의 봉지라면과 컵라면이 모두 포함됐다. 이슬람 국가에서 허용한 ‘할랄 라면’도 현지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즉석면류 수출국은 역대 최다인 143개국으로 확장됐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이후 가이아나, 감비아, 사이프러스, 세르비아, 아이슬란드, 카보베르데 등 6개국이 첫 수출국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최대 수출국은 중국으로 수출액은 1억 9100만 달러에 달했다. 이어 미국 1억 2000만 달러, 일본 6800만 달러 순이었다.
관세청은 “아시아, 북미, 유럽뿐만 아니라 한국 음식의 불모지였던 중동,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수출도 늘어나며 세계 시장이 확대됐다”면서 “코로나19 기간 자가격리·재택근무 등으로 가정 내에 머물며 저장과 조리가 간편한 즉석면류 수요가 증가했고 K푸드가 영화나 방송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지면서 인기를 얻은 것도 한몫했다”고 평가했다.
2023-03-3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