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무와 배추 등 채소 코너를 바라보는 고객.뉴스1
통계청이 5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같은 달 대비 1.9% 상승했다. 지난해 9월 2.1% 오른 뒤 1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특히 폭염·폭우의 영향으로 채소류 가격이 12.4%나 껑충 뛰면서 전체 물가를 0.25% 포인트 끌어올렸다. 채솟값은 지난 5월 13.5%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이에 농산물 가격도 12.0% 올라 8월(7.0%)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생강(101.7%), 시금치(69.2%), 미나리(53.0%), 상추(43.1%), 고춧가루(34.1%), 곡물(21.3%)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수산물 물가도 오징어와 낙지 가격이 많이 올라 5.0% 상승했다.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석유류 가격도 10.7%나 뛰었다. 전달(12.0%)보다 상승폭은 줄었지만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국내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지난달 넷째 주까지 13주 연속 올랐다. 전기·수도·가스 요금은 1.8% 하락했다. 전기료는 인하 효과가 끝나면서 8월(-8.9%)보다 인하폭이 줄었다.
농수산물 가격과 기름값이 오르면서 소비자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폭이 전달(1.3%)보다 대폭 확대됐다. 지난해 9월 2.9%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다.
정부는 이날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농산물·석유류 수급가격 동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고 차관은 “9월 소비자물가는 기록적인 폭염 여파 등으로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전기요금에 대한 한시적 인하 효과가 소멸해 상승 폭이 커졌다”면서 “최근 국제유가가 급등하는 등의 리스크를 감안해 경각심을 갖고 물가관리 노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가격이 많이 오른 농산물에 대해서는 수급조절에 나서기로 했다. 감자는 이달 말까지 시장접근물량(TRQ) 2600t을, 연말까지는 3000t을 추가 도입한다. 무는 계약재배 물량을 하루 100t씩 조기 출하할 계획이다. 또 태풍 콩레이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철저히 대비하기로 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