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식품수입 28조원 ‘사상 최고’…최대 수입품은 쇠고기

작년 식품수입 28조원 ‘사상 최고’…최대 수입품은 쇠고기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16 10:14
수정 2018-01-16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약처, 수입식품 통계 발표

이미지 확대
15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직원이 미국산 쇠고기를 정리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이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14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기준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10억9천601만 달러(약 1조1천663억 원 상당)였다.  연합뉴스
15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직원이 미국산 쇠고기를 정리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이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14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기준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10억9천601만 달러(약 1조1천663억 원 상당)였다.
연합뉴스
지난해 식품수입액이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미국에서 식품을 가장 많이 수입했고, 수입액 1위 품목은 쇠고기였다.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7년 수입식품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수입액은 250억8천772만 달러(28조4천억원)로 전년도(234억3천759만 달러)보다 7.0% 증가했다.

수입식품 중량은 1천829만3천759t, 건수로는 67만2천278건이었고, 총 168개 국가로부터 수입했다.

수입액은 미국이 54억3천332만 달러로 가장 컸고, 중국(41억9천887만 달러), 호주(25억7천248만 달러), 베트남(11억8천569만 달러), 러시아(9억4천170만 달러) 순이었다.

미국에서는 쇠고기와 돼지고기, 중국에서는 스테인리스·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기구와 쌀, 호주에서는 쇠고기와 정제·가공을 거쳐야 하는 원당 등 식품원료, 베트남에서는 냉동새우와 냉동주꾸미, 러시아에서는 냉동명태와 옥수수가 주로 수입됐다.

품목별 수입액을 보면, 쇠고기가 24억6천378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돼지고기(16억3천765만 달러), 정제·가공용 식품원료(15억6천306만 달러), 대두(6억1천222만 달러), 밀(5억4천979만 달러) 순이었다.

수입신고 건수는 중국 17만5천891건, 미국 9만2천563건, 일본 4만6천653건 순이었다. 중국산 제품의 신고가 많은 이유는 국내에서 많이 소비하는 배추김치와 함께 스테인리스 제품, 폴리프로필렌 제품, 도자기 등 다양한 기구류가 수입됐기 때문이라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지난해 수입식품 부적합 건수는 전체 수입신고 중 1천284건으로 부적합률은 0.19%였다.

부적합 품목으로는 가공식품(57.9%)이 가장 많았고, 기구류(15.0%), 건강기능식품(7.9%), 농·임산물(6.5%), 축산물(6.0%), 수산물(5.5%) 순이었다. 부적합 판정 제품은 수출국으로 반송되거나 다른 나라로의 반출 또는 폐기 조치됐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달 30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 커뮤니티실에서 열린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회장 홍기윤) 제3차 정기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나령 동장과 지역사회 복지관장 등도 참석했다.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36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관내 최다 인원 단체로, 지역 내 다양한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역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반기 주요 행사 성과 보고가 진행되었다. 삼계탕 나눔 행사, 치매 예방 교육, 독거 어르신 반찬 지원 사업 등 협의체의 활발한 활동 내역이 공유됐으며, 김 의원은 특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 내용을 담은 책 발간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 이어 올가을 개최 예정인 구민 체육대회와 가재울 축제, 어르신 그림 그리기 대회, 요리 여행, 이불 증정 행사 등 하반기 사업 계획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김 의원은 회원들에게 관내 시립도서관 건축 현황과 홍제천 관련 사업 내용 등 서울시 예산 지원 현황을 설명하며, 서울시의원으로서 올 상반기 의정활동 내역을 전했다. 또한 김 의원은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