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악화 등을 이유로 입원했던 신격호(95)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18일 40일 만에 퇴원했다.
건강 악화 등으로 40일간 입원했던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18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에서 퇴원, 장남 신동주 전 회장과 함께 병원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신 총괄회장은 이날 오후 2시께 서울 송파구 아산병원에서 나와 오후 2시 40분께 자신의 집무실 겸 거처가 있는 소공동 롯데호텔에 도착했다.
이날 퇴원에는 장남 신동주(62) 전 부회장과 부인 조은주 여사가 동행했다. 신 전 부회장은 지난 12일 일본으로 출국했다가 15일 다시 입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전 부회장이 미는 휠체어에 탄 신 총괄회장은 지난 5월 정신감정을 위해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 입원했을 때보다 수척해진 모습이었다.
신 전 부회장 측 관계자는 “신 총괄회장의 상태가 모두 회복됐다”며 “다만 체중이 약간 줄었고 그동안 염색을 하지 못해 수척해 보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신 총괄회장은 지난달 9일 미열 증세 등으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가 같은 달 18일 송파구 아산병원으로 옮겼다.
롯데 비자금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검찰은 지난달 10일 신 총괄회장의 거처 겸 집무실인 소공동 롯데호텔 34층 등 롯데그룹을 전격적으로 압수 수색을 했지만, 신 총괄회장은 당시 입원 중이어서 현장에 있지 않았다.
신 총괄회장이 병원을 옮기면서까지 입원을 연장한 것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신 전 부회장 측은 “신 총괄회장은 전립선 염증과 경미한 폐렴 증상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았다”고 해명했다.
신 총괄회장이 이날 퇴원함에 따라 19일 저녁 신 전 부회장의 성북동 자택에서 진행되는 선친 신진수 씨의 제사에 참석할지 관심을 끌고 있다.
경영권 분쟁이 한창일 때 있었던 지난해 제사에는 신동주 전 부회장만 참석했고 신 총괄회장과 차남 신동빈(61) 회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신 전 부회장 측 관계자는 신 총괄회장의 참석 가능성에 대해 “가능성이 없다고 볼 순 없다”고 말해 여지를 남겼다.
신 총괄회장의 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 신동주·동빈 형제간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다음 달 10일 열리는 ‘신격호 총괄회장 성년후견인 개시 심판 청구’ 6차 심리도 주목받고 있다.
재판부가 의료 기록을 바탕으로 곧바로 신 총괄회장의 성년후견인 지정에 대한 결론을 내릴지, 심리만 종결하고 최종 판단을 뒤로 미룰지 미지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건강 악화 등으로 40일간 입원했던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18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에서 퇴원, 장남 신동주 전 회장과 함께 병원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날 퇴원에는 장남 신동주(62) 전 부회장과 부인 조은주 여사가 동행했다. 신 전 부회장은 지난 12일 일본으로 출국했다가 15일 다시 입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전 부회장이 미는 휠체어에 탄 신 총괄회장은 지난 5월 정신감정을 위해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 입원했을 때보다 수척해진 모습이었다.
신 전 부회장 측 관계자는 “신 총괄회장의 상태가 모두 회복됐다”며 “다만 체중이 약간 줄었고 그동안 염색을 하지 못해 수척해 보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신 총괄회장은 지난달 9일 미열 증세 등으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가 같은 달 18일 송파구 아산병원으로 옮겼다.
롯데 비자금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검찰은 지난달 10일 신 총괄회장의 거처 겸 집무실인 소공동 롯데호텔 34층 등 롯데그룹을 전격적으로 압수 수색을 했지만, 신 총괄회장은 당시 입원 중이어서 현장에 있지 않았다.
신 총괄회장이 병원을 옮기면서까지 입원을 연장한 것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신 전 부회장 측은 “신 총괄회장은 전립선 염증과 경미한 폐렴 증상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았다”고 해명했다.
신 총괄회장이 이날 퇴원함에 따라 19일 저녁 신 전 부회장의 성북동 자택에서 진행되는 선친 신진수 씨의 제사에 참석할지 관심을 끌고 있다.
경영권 분쟁이 한창일 때 있었던 지난해 제사에는 신동주 전 부회장만 참석했고 신 총괄회장과 차남 신동빈(61) 회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신 전 부회장 측 관계자는 신 총괄회장의 참석 가능성에 대해 “가능성이 없다고 볼 순 없다”고 말해 여지를 남겼다.
신 총괄회장의 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 신동주·동빈 형제간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다음 달 10일 열리는 ‘신격호 총괄회장 성년후견인 개시 심판 청구’ 6차 심리도 주목받고 있다.
재판부가 의료 기록을 바탕으로 곧바로 신 총괄회장의 성년후견인 지정에 대한 결론을 내릴지, 심리만 종결하고 최종 판단을 뒤로 미룰지 미지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