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소라 기자
LG전자의 미래 먹거리 중 대표적인 것이 올레드 TV와 전기자동차 부품입니다. 이 두 제품은 여러 각도에서 ‘닮은꼴’입니다. 올레드 TV와 전기자동차는 기존의 TV와 자동차 시장에서 혁신적인 기술에 기반한 차세대 제품으로 꼽힙니다. 그만큼 가격대가 높게 형성돼 있어 아직까지 대중화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수년 후에는 이야기가 달라진다는 점에서도 비슷합니다. 시장조사기관 IHS는 2019년 올레드TV와 LG의 전기자동차 부품은 각각 TV와 자동차 시장에서 10%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올레드TV는 전체 TV 시장의 9.6%를, LG 전기자동차 부품은 전체 자동차 시장의 10.3%를 차지할 것이라는 게 IHS의 예측입니다. 올해 각각의 시장점유율이 1.3%와 4.0%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파른 성장세입니다.
2013년 VC사업본부를 신설하고 자동차 부품 개발에 역량을 쏟아 온 LG전자는 최근 GM의 차세대 전기차에 총 11종의 부품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자동차의 ‘심장’에 해당하는 구동모터 등 핵심 부품들을 전자 및 정보기술(IT) 기업인 LG전자가 공급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보여 줬다는 반응을 얻었습니다. 올레드TV는 세계 가전업계에서 LG가 처음으로 시장에 내놓은 제품입니다. ‘맞수’인 삼성전자는 두 분야 모두에 아직 진출하지 못한 LG전자만의 차별화된 성장 동력이라는 점에서도 닮은꼴입니다. 앞으로 5년 후, 10년 후에는 LG전자의 올레드TV와 전기자동차 부품이 어떤 닮은꼴의 성장곡선을 그릴지 궁금합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11-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