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우리 경제는 엄동설한에 아궁이불 꺼진 초가집”
기업은행 경제연구소가 내년 경제성장률을 2%대 초반으로 전망했다. 정부와 한국은행 모두 내년 3%대 성장을 장담하고 있는 가운데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것이다. 기업은행은 최근 몇 년간 성장률을 ‘족집게’처럼 맞혀 이번에도 적중할지 주목된다.
연구소는 내년 우리 경제가 처한 상황을 ‘엄동설한에 아궁이불 꺼진 초가집’에 빗댔다. 연구소 측은 “미국의 금리 인상이 단행되면 한은이 추격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에 국내 투자가 위축될 것”이라며 “대(對)중국 수출 부진과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 등 대내외 악재가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소가 주목받는 것은 최근 성장률 전망에서 두드러진 능력을 보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은 연구소는 우리나라 성장률이 3.4%에 그칠 것이라고 봤다. 한은은 애초 3.8%를 전망했다. 실제 성장률은 3.3%였다. 기은이 근소한 오차로 맞힌 것이다. 2013년은 아예 한 점 오차 없이 정확히 맞혔다. 한은이 3%대(3.2%)를 제시했지만 기은은 2%대(2.8%)를 전망했고 그해 성장률은 2.8%를 찍었다. 정부나 한은에 비해 매번 비관적인 수치를 제시해 ‘닥터 둠’(비관론자)이라는 별칭도 붙어 있다.
기은 측은 “아무래도 거래 중소기업들을 지역별, 산업별로 직접 찾아가 경제주체들의 체감 경기를 반영해 산출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기관보다 높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물론 틀린 적도 있다. 지난해 10월 기은 연구소가 내놓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6%, 한은은 3.9%였다. 올해 실제 성장률은 2.7% 안팎이 될 전망이다. 중국발 경제 침체 여파 등의 탓이다.유럽발 재정위기라는 돌발변수가 터진 2012년에도 예측이 빗나갔다. 기은 측은 “(경제가 살아나) 내년 (기은) 전망도 틀렸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내년 3%대 성장을 자신하고 있지만 현대·LG 등 민간 경제연구소들은 2.6∼2.8%로 보고 있다. 외국계(노무라증권 2.5%, 모건스탠리 2.2%)는 더 비관적이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10-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