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로 소비·투자 위축, 가뭄에 배추 1년새 2.6배 껑충
정부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서 소비·투자 위축 등 경제 전반에 악영향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극심한 가뭄으로 전국의 논밭이 타들어가면서 주요 농산물 가격이 1년 새 2배로 뛰었다. 관광·숙박·음식업 등을 중심으로 매출이 급감하고 밥상 물가까지 들썩거리면서 영세 자영업자와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더 악화되고 있다.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정부의 추가 경기부양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뜩이나 메르스 사태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을 찾는 발길이 뚝 끊긴 상황에서 농산물 값까지 올라 소비 심리가 더 꺼질 우려가 커졌다. 메르스 공포가 커졌던 이달 첫째 주에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5%, 3.4% 감소했다.
농민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가뭄으로 생산량이 줄고 메르스로 소비가 감소하면서 이달 둘째 주(8~13일) 서울 송파구 가락시장에 들어온 농산물 물량은 총 5만 454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1t(1.1%) 줄었다. 가뭄 때문에 논밭에 계속 물을 대줘야 하지만 일손이 턱없이 모자라고 품삯도 올랐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으로 가뭄 피해를 입은 논밭 6494㏊ 중 3640㏊(56%)에 물을 전혀 못 대주고 있다.
메르스 사태 장기화로 관광·숙박·공연 업종의 여름 휴가철 대목도 사라질 전망이다. 메르스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달 20일부터 지난 11일까지 방한을 취소한 외국인 관광객은 총 9만 5376명에 이른다. 김영호 한국관광공사 부사장은 “방한 취소로 인한 지금까지의 경제적 손실이 1800억원 정도”라면서 “6월에 (외국 관광객을) 140만명 예상했는데 100만명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스 사태와 가뭄의 여파로 올해 경제 성장률이 2%대로 추락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메르스에 가뭄까지 덮치면서 체감물가가 올라 하반기에도 민간소비가 살아나기 어렵다”면서 “정부가 가급적 빨리 20조원 이상의 대규모 추경을 편성하는 등 경기 부양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6-1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