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토론회서 주장
‘사회적 기업’이 ‘증세 없는 복지’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조영복 사회적기업학회장은 25일 서울 남대문로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에서 개최한 ‘2015년 제1차 사회적기업학회 토론회’에서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복지를 확대하는 데 가장 좋은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자본과 조직력을 가지고 영업활동도 수행하는 기업이어서 이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확대한다면 복지 확대와 효율화를 함께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태규 연세대 교수도 “외부 재원에 의존하는 민간비영리단체(NPO)와 달리 사회적 기업은 기업경영을 통해 자체적으로 재원을 조달할 수 있다”면서 “사회적 기업이 취약계층 거주지역에서 보육시설을 운영하는 경우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복지 서비스를 좀 더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14년 기준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은 사회적 기업 수는 1251개이며, 근로자 수는 2만 6000여명이다. 이 가운데 취약계층은 57%인 1만 4000여명이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03-2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