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신규등록 승용차중 가솔린 비중 48.5% 그쳐 디젤차, 저유가·유로6 등 장애물 불구 당분간 상승세 이어질 듯
디젤 승용차의 거침없는 질주에 밀려 작년 국내에 신규 등록된 승용차 가운데 가솔린차의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50% 아래로 떨어졌다.24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작년 국내에 새로 등록된 승용차 136만5천862대 가운데 가솔린차는 66만1천784대로 48.5%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승용차 시장의 대세로 통하던 가솔린차는 최근 몇 년 동안 상대적으로 저렴한 연료비와 높은 연비를 앞세운 디젤차에 밀려 하향 곡선을 그린 끝에 점유율 과반이 무너졌다.
2011년 승용차 신규 등록대수 가운데 가솔린 차량의 점유율은 66.5%로 디젤차(20.7%)의 3배가 넘었으나 2012년 57.5%, 2013년 52.7%로 가솔린차의 점유율이 계속 하락했다.
작년에는 가솔린차가 전년보다 0.9% 증가한 66만1천784대가 팔리며 모처럼 판매량이 플러스 성장세로 돌아섰으나 디젤차의 성장세가 워낙 거센 탓에 점유율 하락을 피하지는 못했다.
이에 반해 디젤차의 비중은 2011년 20.7%에서 2012년 27.0%, 2013년 32.4%로 가파르게 높아졌고, 레저용차량(RV)과 수입차가 디젤차 판매를 견인한 작년에는 판매량이 전년보다 무려 30.9% 늘어난 52만7천638대에 달하며 비중이 38.6%까지 치솟았다.
그밖에 LPG 승용차는 전년보다 2.3%포인트 떨어진 10.3%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어 하이브리드차는 전년보다 0.2%포인트 증가한 2.5%, 전년에 아예 점유율로 잡히지 않던 전기차도 0.1%의 점유율을 보이는 등 친환경차의 성장세도 눈에 띄었다.
디젤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추세가 계속된다면 국내 디젤 승용차의 점유율은 몇 년 내로 디젤차 선호도가 높은 유럽과 엇비슷한 수준으로까지 상승하리란 것이 업계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2013년을 기준으로 유럽의 신규 등록 디젤 승용차의 평균 점유율은 53.3%로 조사됐다.
룩셈부르크(디젤 점유율 73.4%), 아일랜드(72.4%), 포르투갈(72.3%), 프랑스(67.0%) 등 디젤의 비중이 월등한 국가들도 있으나 네덜란드(24.8%), 덴마크(32.0%), 스위스(37.0%), 핀란드(37.1%) 등 유럽의 일부 국가는 이미 디젤 승용차 점유율이 한국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편이다.
프랑스, 노르웨이 등 주요 유럽국가가 디젤 승용차가 내뿜는 질소산화물(NOX)의 유해성에 주목하며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디젤 억제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유럽의 디젤 승용차 점유율은 점차 떨어질 가능성이 커 한국이 디젤 승용차 시장의 내로라하는 큰손으로 떠오를 공산이 크다.
2013년 기준으로도 유럽에서 한국보다 디젤 승용차가 많이 팔린 시장은 독일(144만556대), 프랑스(119만9천729대), 영국(112만7천758대), 스페인(47만9천318대) 등 손에 꼽을 정도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 디젤 승용차의 비중이 미미한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유럽을 제외하고는 한국이 디젤차의 가장 큰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며 “유럽에서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우려로 디젤 승용차 시장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한국은 최근 유럽계 수입차를 필두로 디젤승용차가 이상하리만큼 잘 팔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유가 하락세가 장기화되고, 9월부터 유럽연합이 도입한 디젤차 배기가스 규제 기준인 유로6가 일반 승용차까지 확대되며 일부 업체의 디젤차 가격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디젤차의 매력 하락 요인이 존재하지만 국내에서 디젤차의 질주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시각이 강하다.
한 독일계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유가 하락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는데다 직접 타보면 휘발유차에 비해 연비가 두드러지게 좋고, 주행성능도 뛰어나기 때문에 현재의 디젤차 쏠림 현상을 되돌리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국내 완성차업체들도 수입차의 공세에 맞서기 위해 최근 주요 차종에 디젤차를 속속 추가하며 전체 라인업에서 디젤차 비중을 점차 끌어올리고 있다.
예컨대, 지난해 7월 그랜저 디젤을 내놓으며 그동안 엑센트, 아반떼, i30, i40 등 소형과 준중형차 정도에만 적용했던 디젤 모델을 준대형 세단까지 넓힌 현대·기아차의 경우 전체 승용차 라인업에서 디젤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 35%에 달한다.
지난해 대표 모델인 중형세단 SM5와 말리부에 디젤 모델을 나란히 추가한 르노삼성차와 한국GM은 현재 판매 차량 중 디젤차 비율이 각각 30∼40%, 15∼20%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