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어느 한 국가의 금융위험 예상외로 확산할 수도”

이주열 “어느 한 국가의 금융위험 예상외로 확산할 수도”

입력 2015-01-05 14:23
수정 2015-01-05 14: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한층 확대될 가능성 높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새해 주요국의 상이한 통화정책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비금융기업의 금융업 진출 등을 지목하면서 “금융 부문에서도 전례없는 변화가 예상된다”고 5일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낮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금융기관 신년인사회에서 신년사를 통해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의 엇갈림이 분명해지면서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한층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어 “국제결제은행(BIS)은 세계적으로 금융부문의 위험추구 성향이 과도함을 지적한 바 있다”면서 “어느 한 국가의 금융위험이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은 정책금리를 올리는 출구전략을 본격화하고 유로나 일본은 당분간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이어가면서 최소한 해외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성 지적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바젤Ⅲ로 상징되는 글로벌 금융규제 강화에 대응한 금융사의 준비에도 미비점이 없는지 세심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금융 소비자와 공급자의 직거래 등을 거론하면서 “비금융기업의 금융업 진출도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서 “금융의 본질로 인식돼온 중개기능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작금의 상황이 어찌 보면 돌이킬 수 없는 큰 흐름일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이 총재는 신년사로 덕담보다는 경고성 메시지를 던진 데 대해 “새로운 각오를 다지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에 대해서도 체감경기 부진, 세월호 참사, 금융사 지배구조 논란, 개인정보 유출사건 등을 사례로 들면서 “국민 모두에게 시련의 한해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쁨과 보람에 가득 찬 미래가 펼쳐지기를 기대해 본다”며 “그러나 마냥 희망만 품기에는 왠지 불안함을 떨칠 수 없는 게 우리 모두의 솔직한 심정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 총재는 “아마도 우리는 패러다임이 급격히 뒤바뀌는 지각변동기의 한복판에 서있는지도 모른다”고 진단하고서 세계경제의 장기침체와 그동안은 겪어보지 못한 일상화된 저성장을 뜻하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거론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