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년 공직인생 ‘행정의 달인’으로 능력위주 인사시스템 등 소통경영
임종룡(54)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지난 6월 회장 내정 사실이 알려졌을 때부터 금융계 안팎으로부터 큰 기대를 모았다. 농협중앙회와 농협금융지주 간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거물급’ 인사로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관치금융 논란을 제기했던 KB금융지주 노조와 달리 농협 노조는 큰 반대를 보이지 않았다.
NH농협금융지주 제공
임종룡(가운데) 농협금융 회장이 지난 8월 농협은행 서울 가락시장지점을 방문해 직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임 회장은 매월 2회 영업점을 방문하는 등 현장 경영을 강화할 계획이다.
NH농협금융지주 제공
NH농협금융지주 제공
임 회장은 소통 경영을 강조한다. 회장으로 내정된 다음 날 바로 농협중앙회 노조를 찾아간 것은 유명한 일화다. 관치금융 논란이 확산되기 전에 일찌감치 특유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한 ‘소통’의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또 중앙회와의 갈등을 고려해 스스로 조정자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중앙회의 의견을 존중하는 한편 부당한 경영 간섭엔 단호히 대처하겠다는 입장이다.
취임 초기 업무 파악을 마친 후부터는 현장을 찾고 있다. 직원의 조찬간담회를 비롯해 실무진들과의 티타임도 허물없이 진행하고 있다. 지난 달 7일 서울 가락시장지점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매월 두 차례씩 영업점을 방문할 계획이다. 영업 환경을 파악하고 지역의 숨은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임 회장은 능력을 우선하는 인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농협금융은 지난달 말 산전후대체직으로 근무했던 직원 두 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산전후대체직은 임신·출산으로 휴직을 하면 임시로 투입되는 텔러들을 말한다. 이번에 발탁된 두 직원은 계약 기간이 끝났지만 우수 직원 우대 방침에 따라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임 회장은 직원들과의 소통에서 ‘열정’(熱情)과 ‘야성’(野性)을 강조하고 있다. 금융환경이 어려울수록 직원 개개인의 열정과 야성이 생존에 밑바탕이 된다고 보고 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3-09-2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