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은 ‘기업 이익’보다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비형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한·중 FTA 추진방향에 대한 기업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4.8%는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부문은 개방대상에서 제외하거나 관세 철폐 폭을 최소화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양국 시장의 개방 범위와 관세 철폐 폭을 최대화하는 등 FTA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답한 기업은 15.2%에 불과했다.
하지만 한·중 FTA가 기업경영에는 ‘혜택이 예상된다’(33.3%)는 응답이 ‘피해가 예상된다’(17.0%)는 답변을 웃돌았다. 다만 ‘혜택과 피해가 비슷할 것’(49.8%)이라는 응답이 많아 협상 내용에 따라 FTA 체결에 따른 이해득실이 갈릴 것으로 봤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정보기술(IT), 석유화학 등은 ‘혜택이 클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았다. 반면 철강, 생활용품은 ‘피해가 클 것’이라는 기업이 다소 많았다. 섬유·의류는 혜택을 예상하는 기업과 피해를 예상하는 기업 비중이 같았다.
박종갑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자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이므로 한·중 FTA를 체결하면 혜택이 손해보다 더 클 것”이라며 “다만, 한·미나 한·유럽연합(EU) FTA와 달리 일부 업종과 중소기업 등에서 큰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이익 극대화보다는 피해 최소화에 협상의 중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12-11-1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