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중국 정부와 김포~베이징 일 4회 운항(양국 각 일 2회씩)에 합의함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각각 이 노선을 매일 1회씩 주7회 운항하도록 결정했다고 13일 밝혔다.
두 항공사는 7월부터 김포~베이징 운항을 시작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운항개시일은 한국과 중국의 항공당국이 협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함께 운항을 하면 소비자가 좀 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고, 경쟁체제의 도입으로 운임료 인하와 서비스 개선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에 대해 ‘김포~베이징 노선 배분에 대한 아시아나항공의 입장’이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항공을 동 노선의 운항사로 선정한 것은 이용객 편의와 국적 항공사의 균형적인 발전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또 대한항공이 기존의 인천~베이징노선 주 18회 운항을 유지하고 아시아나가 김포~베이징 노선 주 14회를 독점 운용해야 한중 1일 생활권을 구축할 수 있는데 이번 배분으로 양사가 상생의 기회를 잃었다고 주장했다.
하루 1회 운항 일정으로는 오전에 출국해 오후에 입국하는 1일 생활권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두 항공사에서 편도항공권을 1장씩 구매하면 일정을 맞출 수 있겠지만 편도 운임이 왕복과 별 차이가 없어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것.
한편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노선 배분은 양국간 합의를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어느 한 항공사에 몰아주기식 배분을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노선을 독식하겠다는 주장은 허무맹랑한 욕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연합뉴스
두 항공사는 7월부터 김포~베이징 운항을 시작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운항개시일은 한국과 중국의 항공당국이 협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함께 운항을 하면 소비자가 좀 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고, 경쟁체제의 도입으로 운임료 인하와 서비스 개선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에 대해 ‘김포~베이징 노선 배분에 대한 아시아나항공의 입장’이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항공을 동 노선의 운항사로 선정한 것은 이용객 편의와 국적 항공사의 균형적인 발전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또 대한항공이 기존의 인천~베이징노선 주 18회 운항을 유지하고 아시아나가 김포~베이징 노선 주 14회를 독점 운용해야 한중 1일 생활권을 구축할 수 있는데 이번 배분으로 양사가 상생의 기회를 잃었다고 주장했다.
하루 1회 운항 일정으로는 오전에 출국해 오후에 입국하는 1일 생활권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두 항공사에서 편도항공권을 1장씩 구매하면 일정을 맞출 수 있겠지만 편도 운임이 왕복과 별 차이가 없어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것.
한편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노선 배분은 양국간 합의를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어느 한 항공사에 몰아주기식 배분을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노선을 독식하겠다는 주장은 허무맹랑한 욕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