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뉴스] 2710m 거리서 러軍 명중시킨 우크라 저격수…세계 2위 기록(영상)

[나우뉴스] 2710m 거리서 러軍 명중시킨 우크라 저격수…세계 2위 기록(영상)

입력 2022-11-16 15:16
수정 2022-11-16 15: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왼쪽 저격병 자료사진, 오른쪽 우크라이나군이 2710m 떨어진 거리에서 러시아군을 저격하기 직전 영상
왼쪽 저격병 자료사진, 오른쪽 우크라이나군이 2710m 떨어진 거리에서 러시아군을 저격하기 직전 영상


우크라이나 군이 개전 직후 러시아군에 빼앗겼던 남부 요충지 헤르손을 되찾으면서 사기가 크게 오른 가운데, 우크라이나 저격병이 2700m가 훌쩍 넘는 장거리에서 러시아군을 저격하는데 성공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우크라이나군에 따르면 이름이 공개되지 않은 저격수는 2710m 떨어진 거리에서 러시아군을 표적 사살했다.

우크라이나군이 공개한 영상은 저격병이 러시아 군인의 가슴에 집중시키기 전, 나무 사이를 움직이는 러시아군의 모습을 담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이 2710m 떨어진 거리에서 쏜 총에 맞아 쓰러진 러시아 군인
우크라이나군이 2710m 떨어진 거리에서 쏜 총에 맞아 쓰러진 러시아 군인
열상 조준경이 움직이며 총이 발사된 뒤 약 3초 후, 영상 속 군인이 바닥에 쓰러졌다. 쓰러진 군인을 도우려는 듯 또 다른 사람이 다가왔지만, 이 역시 저격수의 두 번째 저격에 맞아 쓰러졌다.

우크라이나군은 해당 영상이 촬영된 시기와 장소, 당시 사용된 무기나 탄약 등에 대한 세부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해당 영상을 접한 일각에서는 소총이 발사되는 시점과 군인이 바닥에 쓰러지는 시점 사이의 시간이 너무 짧다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저격수의 사거리에 들어온 러시아 군인의 사망 전 모습. 우크라이나군 제공
우크라이나 저격수의 사거리에 들어온 러시아 군인의 사망 전 모습. 우크라이나군 제공
우크라이나군의 주장이 공식적으로 인정된다면, 2009년 아프가니스탄 전투 당시 2475m 거리에서 탈레반 전사 2명을 저격한 영국인 크레이그 해리슨보다 앞선 기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크레이그 해리슨은 338 라푸아매그넘 소총으로 탈레반 대원을 사살했으며, 당시까지 세계 최장거리 저격 기록을 보유했었다.

현재까지 기록된 최장거리 저격은 2017년 이라크에서 3450m 떨어져 있는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중요 표적을 저격, 명중시킨 캐나다 합동작전군(JTF)의 저격병이 세운 기록이다.

캐나다 군인은 저격 전용 맥밀런 TAC-50 소총을 이용해 조수 1명과 함께 사살 대상인 IS 대원을 정확하게 맞혔고, 그가 쏜 총탄이 표적에 이르기까지 10초도 걸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캐나다군 당국은 보안상의 이유로 신기록을 세운 병사의 신상과 저격 장소를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캐나다는 서방 군사계에서도 저격 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쟁이 시작된 뒤 세계 최고 저격 수준을 자랑하는 스나이퍼가 우크라이나로 향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왈리(왼쪽 두 번째)는 2009년 아프가니스탄전, 2015년 이라크전 참전 경험이 있는 최정예 특수부대 출신이다. 특히 저격에 능하다.
왈리(왼쪽 두 번째)는 2009년 아프가니스탄전, 2015년 이라크전 참전 경험이 있는 최정예 특수부대 출신이다. 특히 저격에 능하다.
지난 3월 미국 뉴욕포스트 등 외신은 ‘월리’(40)라는 가명을 쓰는 캐나다의 엘리트 저격수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다고 보도했다.

월리는 당시 CBC 캐나다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그런 일(러시아의 침공)을 당할 이유가 없다”며 참전 이유를 밝혔다.

이후 일부 외신에서는 우크라이나 의용군으로 참전한 월리가 2017년 세계 신기록(3450m)을 세운 저격병의 동료라고 전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